본문 바로가기

모든것의 사용기

샤오미폰 정발폰과 직구폰 확인 방법 - 갤럭시 정발폰과 직구폰의 차이

반응형

1. 2022년에 달라지는 전파 인증법

스마트폰을 구매하면서 외산폰을 처음 구매하시는 분들이나 턱없이 비싼 한국 스마트폰보다 저렴하면서 쓸만한 스마트폰이 눈에 들어와서 보니 국내 제조사 정발 폰이 아닌 외국에서 판매하는 국내 제조사 스마트폰임을 알고 역 직구를 해야 되는 경우 이거 사용해도 문제가 없을까 하는 생각에 많이들 망설이는 분들을 위해서 오늘은 제가 국내 혹은 국외 외국 제조사 혹은 국내 제조사 직구 폰을 구매할 때의 고려해야 할 점들에 대해서 말씀드려보고자 합니다.

 

전파 인증법이란 법이 시행됨에 따라 외국에서 직구한 스마트폰은 사용하고자 하는 본인 사용이외의 타인에게 판매하는 행위는 불법으로 치부해 왔습니다. 간혹 이런 법을 알지 못하고 '중고 나라'에 판매 글을 올렸다가 신고를 당하는 경우도 종종 보게 됩니다. 

 

그래서 직구폰은 본인이 사용하다가 고장 나면 알아서 폐기 처분하는 것으로 타인에게 판매할 목적으로는 사지 않도록 권하고 있습니다만 올 22년부터는 달라집니다.

 

 

전파인증이 면제된 해외직구 전자제품의 중고판매 허용

- (기존) 개인사용 목적으로 적합성평가(전파인증)를 면제받고 1인당 1대에 한해 해외에서 반입한 전자제품은 타인에게 판매 제한

 

-(개선) 국내 반입한지 1년 이상 경과한 제품은 판매 목적 반입이 아닌 것으로 간주하여 양도, 대여, 판매 등 허용

 

- 시행일 : 전파법 시행령 개정(22년 상반기) 21년 10월 15일부터 선시행

 

다시 말해 작년 10월 중순부터 선시행 되고 있으며 국내 반입한 지 1년이 지난 제품에 대해선 자유로이 양도나 대여 개인 거래 판매 등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사실 1년 정도 지난 제품이면 자신에게 사용하지 않는 제품 처분 개념이라 생각하시면 될 것 같네요.. 

 

물론 직구 제품이 재테크 수준으로 사서 되팔아서 남는 목적으로 구매하기는 쉽지 않겠지만 1년이 지난 시점이라면 이런것 또한 없으리라 생각됩니다. 

 

2. 직구폰의 정의

쉽게 말씀드려서 해외 제조사에서 제조해서 파는 제품을 자신이 개인 수입하는 방법 혹은 국내 해외 직구 대행업체를 통해서 구매하는 것이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중국 샤오미, 화웨이 외에 '알리익스프레스'라는 중국 글로벌 쇼핑몰에서 구매해서 제품을 선박이나 비행 편으로 배달해서 구매하는 폰입니다.

 

외국 제조사의 스마트폰을 구매하실때는 두 가지만 확인하시면 됩니다.

 

첫째 글로벌 롬을 사용한 스마트폰인가? 중국에는 스마트폰을 판매하는 데 있어서 중국 내수용 제품과 외국에 판매할 수 있는 글로벌 롬 제품 두 가지를 판매합니다. 내수용 제품은 언어가 중국어와 영어 두 가지로만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글로벌 롬에 비해서 금액이 쌉니다. 글로벌 롬 제품은 언어 관련해서 사용을 할 수 있느냐 없느냐의 문제이기에 본인이 롬을 올리고 내리고 할 능력이 되지 않으신다면 무조건 글로벌 롬을 구매하셔야 합니다.

 

둘째 사용하고자 하는 스마트폰이 국내에서 사용이 가능한 주파수 영역을 포함하는지를 확인 하셔야 합니다. 사용하시고자 하시는 통신사가 SKT 기준으로 LTE를 사용하신다면 Band 1,3,5 KT는 Band 1,3,8 유플러스는 Band 1,5,7 이렇게 사용하기 때문에 제품 설명란에 밴드 명칭이 모두 포함하는지 혹은 자신이 쓰고자 하는 통신사의 주파수 영역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을 하시고 구매하셔야 사용하시는데 문제가 없습니다.

 

그런데 대부분 SKT나 KT 주파수를 포함한 제품들이 많습니다. 문제는 유플러스가 제대로 되는지에 대해 의문을 가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필히 유플러스 밴드가 모두 포함되는지 확인하시고 구매하시는 걸 권해드립니다. 

 

 

국내 삼성 제품인 갤럭시 시리즈 또한 외국에서 그 나라의 통신 상황에 맞게 판매하는 제품들이 많습니다. 그래서 국내 제품과 비교해서 더 나은 환경의 제품이나 더 싼 금액으로 제품을 사용하고자 역 구매해서 쓰시는 분들도 종종 있는 것 같더군요.. 무엇보다 해외 제품은 듀얼 유심이 가능하게 제조되어 있기에 듀얼 유심을 쓰시는 분들이거나 써보셔서 그 편리함을 아시는 분들은 해외에서 삼성 스마트폰을 구매하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해외에서 삼성 제품을 구매하실때에는 국내에서 발매한 제품과 다른 CPU와 RAM의 구성으로 판매하는 경우가 있기에 제품 사양을 어느 정도 확인을 하시고 구매하시는 게 좋습니다. 또한 AS도 구미공장으로 보내져서 받을 수 있기에 시간도 며칠 걸리고 1년 내 구매하셨다 하더라도 AS 비용이 청구가 된다는 점도 유념하셔야 할 사항입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한가지.. 삼성 페이 사용이 안됩니다. 같은 삼성 제품이라 할지라도 해외 직구 폰에선 삼성 페이는 사용을 할 수가 없습니다.

 

3. 정발폰의 정의

 해외 제조사가 한국에 들어와서 SKT, KT, 유플러스 등 통신사를 업고 판매를 하는 제품과 한국에서 판매하는 갤럭시 혹은 지금은 없어진 엘지 스마트폰 등을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국내 정발폰은 모든 기종이 다 그런 것은 아니지만 삼성 페이가 지원되는 폰에서는 얼마든지 삭제 설치가 가능하여 사용이 된다는 점과 AS 관련해서도 동네 삼성 혹은 엘지 서비스 센터에 맡기면 몇 분에서 몇 시간 내에 애지 간한 수리는 다 된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이라 생각되네요.. 물론 새 제품 구매 후 1년 내 일 경우엔 무상 서비스도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물론 국내 정발된 외국산 스마트폰은 전국에 몇 개 서비스 대행업체에 맡겨서 이용이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긴 하나 직구 폰처럼 사쓰다가 수리를 하고자 할 경우 물어물어 사설 업체에서 받아줄 경우 액정 파손이나 겉 케이스 파손 정도는 해결이 될지 모르겠으나 제품 내용물의 고장은 확인을 해보셔야 합니다. 그것이 아니라면 직구한 곳을 통해서 수리를 하고자 하신다면 복잡하고 나중에는 포기하는 경우가 다반사입니다.

 

운 없으면 쓰레기로 전략한다는 단점이 있기에 그에 비해 정발 폰은 AS만은 확실하게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큰 장점으로 여겨질 부분입니다. SKT, KT, 유플러스 어느 통신사든 유심만 갈아 끼우면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약정 사용 후 다른 통신사로 옮겨 탈 때도 부담 없이 그냥 사용했던 폰 그대로 쓸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4. 샤오미폰 정발폰과 직구 폰 확인방법

22년도 올해 부터 직구 폰도 1년이 지난 시점에선 당당하게 판매를 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한 가지 확인하셔야 할 것은 그렇다면 이 폰이 정발 폰인지 해외 직구 폰인지 확인하는 방법은 따로 있느냐? 있습니다. 다만 겉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는 것에서 중고 거래 시 불안한 요소입니다. 갤럭시 폰은 국내에서는 아직 듀얼 유심 제품이 나오지 않아서 유심 트레이만 빼보면 알겠지만 샤오미는 정발이든 직구든 모두 듀얼 유심 트레이를 사용하고 있어서 유심 트레이만으로는 확인이 어렵습니다.

 

 

사실 중고판매시 정발 폰을 판매하시는 분들이 다 그렇지는 않겠지만 정발 폰이라고 속여서 파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그럼 어떻게 확인해야 하느냐? 지금부터 그 방법을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포장 팩에서 확인하는 법

구매를 하시는 분들중 이왕이면 구매 시 받은 그대로 받기를 원하시는 분들이 많으실 겁니다. 포장팩 그대로 구매하고 싶어 하시는 분들은 포장팩에 한국 전파인증 마크인 KC 마크를 확인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수입처는 쿠팡이고 KC마크로 전파인증을 마친 제품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어떤 형태이든 KC마크만 보인다면 정발폰임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포장팩이 없이 스마트폰 단품만 판매를 하는 분들도 계시기에 스마트폰에서 확인하는 방법은 없냐고 하실 수 있어서 그 방법도 말씀드리겠습니다. 

 

알뜰폰이나 각 메이저 통신사를 통해서 구매를 한 외산폰들에는 통신사 앱이 다 설치되어 있을것입니다. skt나 kt, 유플러스 관련 통신사 관련 앱들이 있다면 통신사를 통한 정발 폰임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것 또한 판매하시는 분들이 설치하실 수 있는 것이기에 설정 앱을 통해서 인증서를 확인하시면 가장 확실한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 설정앱에서 확인하는 방법

 

스마트폰의 설정앱을 연후 맨 위 검색창에 인증서라고 입력합니다. 여러 인증서 메뉴가 나옵니다만 그중 인증서 휴대전화 정보/인증서라고 되어 있거나 비슷한 문구가 되어 있는 메뉴를 터치해보십시오

 

한국 전파인증 관련 마크가 없습니다. KC 마크가 없는 것은 직구 폰입니다. 제가 사용중에 있는 내비게이션 직구폰 홍미 노트5입니다. 

 

반면 쿠팡을 통해 전파인증을 받은 정발 폰인 홍미 노트1 0 프로 제품은 여러 인증 마크 중 KC마크가 있어서 정발 제품임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중고 구매하실 때 정발 혹은 직구 제품에 대한 확실한 확인을 하고자 하신다면 다음과 같이 kc 인증 마크를 확인하고 구매하시면 되겠습니다. 만약 이 마크가 없는데도 불구하고 정발 폰이라고 우기신다면 판매자도 속아서 구매를 한 제품을 판매하거나 알면서도 우기는 것이거나 둘 중 하나가 되겠네요.. 인증 마크에는 구매하고자 하시는 모델명도 확인이 가능하시니 다른 제품 인증서 아닌지 확인하시는 거 잊지 마시고요.. 이상 정발 폰과 직구 폰의 확인법과 차이점에 대해서 말씀드렸습니다. 

 

 

반응형